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기간이 되었습니다.
근로자, 사업자 가구라면 놓치지 말고 신청해야 하는 그것 "근로장려금" 신청기한이 다가왔습니다.
2025년 올해 바뀐 점과 유의할 점을 확인하고 자격에 해당된다면 놓치지 말고 꼭 근로장려금 혜택 받아 가세요.
근로장려금은 정기분 신청기한이 있으나, 놓치신분들도 신청할 수 있으니 꼭 확인하셔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
그럼 근로장려금 신청기간, 자격, 방법 등 확인하러 가보시죠.
2025년 근로장려금 꼭 확인하고 신청 해야하는 이유
일은 하고 있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, 사업자 가구에 대하여 가구원 구성과 근로소득,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 소득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 장려 및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근로장려금은 가구원 구성에 따라 정한 부부합산 총급여액 등 여러가지 조건이 있으며, 이러한 기준을 토대로 지급액이 산정됩니다.
가구 유형에 따른 근로장려금 지급 가능 최대액은?
2025년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에 따라 소득 기준과 지급 가능 최대 금액이 다르게 적용됩니다.
구분 | 단독가구 | 홑벌이 가구 | 맞벌이 가구 |
---|---|---|---|
총소득기준금액 | 2,200만 원 미만 | 3,200만 원 미만 | 4,400만 원 미만 |
최대 지급액 | 165만 원 | 285만 원 | 330만 원 |
(출처 : 국세청) |
최대 가능 금액을 알아보셨는데요 그럼 더 자세한 소득 및 재산 요건을 확인하러 가보시죠.
2025년 근로장려금 자격 요건 요약
구분 | 내용 |
---|---|
소득요건 (2024년 부부합산 연간 총소득) |
- 단독가구: 2,200만 원 미만 - 홑벌이 가구: 3,200만 원 미만 - 맞벌이 가구: 4,400만 원 미만 - 자녀장려금 포함 시: 홑벌이 또는 맞벌이 가구 7,000만 원 미만 ※ 총소득 = 근로 + 사업 + 종교 + 기타소득 등 총수입 합산 (필요경비 차감, 이자/배당/연금 포함) |
재산요건 (2024년 6월 1일 기준, 가구원 합산) |
- 가구원 모두가 소유한 재산 합계가 2억 4천만 원 미만 포함되는 재산: · 주택, 토지, 건축물, 전세보증금 · 자동차, 금융자산(예금 등), 회원권, 유가증권, 부동산 취득 권리 등 평가 기준: · 주택 전세금은 기준시가 × 55% 또는 실제 전세금 중 작은 금액 · 간주전세금은 기준시가의 100%로 평가 ※ 재산가액에서 부채는 차감하지 않음 |
신청 제외 대상 | - 외국 국적자(혼인한 자 포함), 대한민국 국적 자녀 없음 - 부양자녀가 있는 타 거주자의 배우자 - 전문직 종사자 (신청자 또는 배우자) - 2024.12.31. 기준 상용 근로자로 월평균 500만 원 이상 소득자 |
가구원 구성의 정의
가구 유형 | 정의 |
---|---|
단독가구 | 배우자, 부양자녀(18세 미만),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없는 가구 |
홑벌이 가구 | ① 배우자의 총급여액 등이 300만 원 미만인 가구 ② 배우자가 없더라도 부양자녀(18세 미만)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 |
맞벌이 가구 | 거주자와 배우자 각각의 총급여액 등이 300만 원 이상인 가구 |
가구원 기준 | 거주자의 배우자, 직계존속 및 직계비속(배우자 포함), 부양자녀 포함 |
총 소득과 총 급여액 차이
구분 | 총소득 | 총급여액 등 |
---|---|---|
적용 기준 | 신청자격 중 소득요건 판정 기준 (가구원 구성별 기준금액) |
장려금 지급액 결정 기준 홑벌이/맞벌이 가구 구분 기준 |
소득 기준 | 근로, 사업, 종교, 기타, 이자, 배당, 연금소득 포함한 합계 | 근로, 사업, 종교인 소득의 합계 |
꼭 알아두세요 !! 총 급여액에서 제외되는 소득은?
- 비과세 소득
- 본인 및 배우자의 직계존비속에게 받은 근로소득 및 원천징수대상 사업소득
- 사업자등록 없는 자의 사업소득(일부 원천징수 대상 제외)
- 사업자등록 없는 자에게 받은 근로소득
- 인정상여 근로소득(법인세법 제67조에 따른 처리분)
- 소득세법에 따른 부동산임대업에서 발생한 소득
지금까지 근로장려금의 간략한 소개와 신청자격요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다음 신청 기간 및 신청 방법 등 알아보시려면 밑에 메뉴를 클릭해 주세요.
ㄱ
모바일 신분증 발급 !! 방법부터 이용까지 한방에 !
2024년 시범적으로 시행 후 2025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모바일 신분증이 도입되면서, 이제는 스마트폰만 있다면 주민등록증 없이도 본인 인증이 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. 아직 잘 모르셨다면
kgchapro.com
[서울] 서울 거주 미취업 청년이라면 월 50만원 받아가세요! 청년수당
[서울] 서울 거주 미취업 청년이라면 월 50만원 받아가세요! 청년수당
서울시 청년수당은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에서 34세 미취업 신분이거나 단기 근로 청년에게 활동지원금을 지급하고, 또한 강점진단 종합지원, 멘토링, 취업지원 프로그램 등 청년 맞춤 프
kgchapro.com
'알뜰살뜰 정보이야기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임신 출산 육아 정부 지원 정책 한눈에 알아보기 - 1편 국민행복카드 - 임신 출산 진료비 등 지원 관련 (0) | 2025.04.14 |
---|---|
2025년 잔나비 콘서트 예매 정보 한번에 알아보기!! 예매 꿀팁 (0) | 2025.04.08 |
2025 근로장려금 신청 후 심사 및 지급기한 확인 (0) | 2025.04.07 |
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한큐에 알아보기 (0) | 2025.04.02 |
모바일 신분증 발급 !! 방법부터 이용까지 한방에 ! (0) | 2025.03.29 |
제주 감성 제대로 담았다 폭싹 속았수다 촬영지 정보 꿀팁! (0) | 2025.03.27 |
2025 곡성 세계 장미 축제 주차, 예매, 먹거리 꿀팁 !! 공유 (0) | 2025.03.24 |
2025년 창녕 낙동강 유채꽃 축제 미리 확인하고 추억 남기자! 주차, 방문 꿀팁! (0) | 2025.03.22 |